반응형
내게 맞는 청년 주거정책, 마이홈에서 찾아보세요
내게 맞는 청년 주거정책, 마이홈에서 찾아보세요 관련 보도자료 내용입니다.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www.korea.kr
마이홈 App 설치
✔️ 개요
-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청년 주거정책
193개, 10종으로 알기 쉽게 만들었습니다. - 모든 청년 주거정책 정보를 한 곳에서
통합 제공하는 마이홈 App 전용페이지 신설
(2023년 8월 30일)
✔️청년 주거정책 단순화
- 193개 정책을 4개 유형, 10개 정책으로 단순화
193개, 10종으로 알기 쉽게 만들었습니다.
(사업 명칭만으로 무엇을 제공하는지 알기 어려움) - 아래 표처럼 4유형·10정책으로 체계화하였으며,
앞으로 정책홍보는 10 정책명을 표기하도록 지침마련.
주택공급 | 금융지원 | 주거비지원 | 기타지원 | ||||||
공공임대 | 민간임대 | 공공분양 | 민간분양 | 대출지원 | 청약지원 | 주거급여 | 월세지원 | 비용지원 | 기타지원 |
ZERO 주택 |
햇살 둥지사업 |
뉴:홈 | 생애최초 특별공급 |
디딤돌 대출 |
청년우대 청약통장 |
주거급여 분리지급 |
청년 월세지원 |
중개보수 지원 |
안심홈 세트 |
✔️ 정부-지자체 유사사업 통합
- 전수조사 결과에 따라, 정부-지자체 간
사업 대상과 혜택이 중복되는 사례는
지자체가 먼저 시행한 사업을 국토부가
전국단위로 확대함에 따라 중복이 발생. - 실제 운영에 중복 수혜는 불가능합니다.
- 이후 중복 발생 시 지역사업 폐지유도 계획임.
✔️ 소득 기준을 정책 유형별로 통일
- 현재 주거정책에서 쓰이는 소득기준들이
(도시근로자월편균소득, 중위소득, 연평균소득 등)
혼용되고 있어 정책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
쉽게 알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습니다. - 주택공급과 주거비지원 사업대상 선정 시
복지사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'중위소득'을 사용 - 금융지원 사업대상 선정 시 상환능력 확인을 위해
'연소득'을 사용하도록 기준 마련
✔️ 맞춤형 정책 추천 기능 출시
- 각 시도 및 부처 홈페이지에 흩어진 정보를
마이홈 포털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
청년 전용 페이지를 신설하였습니다.
(플레이스토어, 앱스토어에서 「마이홈」 검색) - 지역, 소득, 연령 등 정보를 입력하면 신청 가능한
주거 정책을 맞춤형으로 추천해 주는 자가진단 기능
도입하고, 바로 신청 가능한 페이지로 연결까지 지원
반응형
'사회초년생 >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사회] 🏠 2022년 청년정책(공공분양 50만호) (0) | 2022.11.13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