▪︎ 금리(이자율)
➜ 기간당 원금에 대한 이자 비율(보통 1년을 기준)
➜ 수요(가계소비, 기업투자) VS 공급(저축행태, 통화정책)
➜ 저축 소비 투자 물가 대출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침
📌 금리의 종류
▪︎ 기준금리
-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 의결로 정하는 정책금리
※ 과열되면 인상, 침체되면 인하
▪︎ 시장금리
- 금융시장에서 형성되는 금리(장기/단기 금리로 나뉨)
※ 단기(콜금리, 환매조건부채권, 양도성예금증서의 수익률 등)
※ 장기(1년 이상의 국공채, 회사채 금융채의 수익률 등)
▪︎ 금융회사 여수신금리
- 1990년대 금리자유화가 이루어지면서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있음
📌 [미국 기준금리 - 한국 금융시장]
▪︎ 연방준비제도(Federal Reserve System)
- [12개 지역연준]
- [연방준비제도이사회]
- [공개시장위원회]
▪︎ 공개시장위원회(Federal Open Market Committee)
- [연준이사회 위원 7명], [뉴욕연준 의장] 및 [투표권이 있는 4개의 지역연준 의장]
- 기준금리(Fed fund rate) 목표수준 결정
▪︎ 연방준비제도이사회(Federal Reserve Board)
- 공개시장조작을 명령하여 미 연준 기준금리가 목표수준에서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.
미국 기준금리 인상 => 신흥국 기준금리 인상 압력
미국-신흥국 기준금리 차이가 줄어들면 신흥국 금융시장의 매력도가 떨어지면,
[외화자금 이탈 - 달러수요 증가 - 수입물가 상승 - 인플레이션] 연쇄반응이 일어나게 된다.
단기적으로는 수출이 개선될 수 있지만, 장기적으로는 경제자체가 악화될 수 있다.
▪︎ 환율
➜ 국가 간 화폐의 교환비율
➜ 우리나라는 자국통화표시법(1달러 = 1400원)
➜ 외화공급 증가 = 환율 하락 = 원화가치 상승 = 우리나라 수출상품 가격 경쟁력 감소, 자본유입, 외국 관광객 증가
➜ 외화수요 증가 = 환율 상승 = 원화가치 하락 = 우리나라 수출상품 가격 경쟁력 증가, 자본유출, 물가상승, 해외여행 증가
➜ 환율의 높낮음 중 어느 것이 우리 경제에 좋은지 딱 정하긴 어렵다.
➜ 환율의 변동성이 높으면 부정적인 상황을 초래하니, 외환보유액으로 시장을 진정시킨다.
▪︎ 주가
➜ 주식은 주식회사가 자본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증권
➜ 개인은 주식시장에서 여유자금으로 투자기회를 찾을 수 있다.
➜ 주가지수(Index)
- 주식시장의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평균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표
- (비교시점 시가총액 ÷ 기준시점 시가총액) x 100
📌 주식시장의 종류
▪︎ 발행시장
- 기업공개(IPO) / 유상증자를 통해 주식이 발행되는 시장
※ 과열되면 인상, 침체되면 인하
▪︎ 유통시장
- 발행 이후의 거래가 일어나는 시장
- 코스피(KOSPI)
※ 1980년 기준지수 100으로 했을 때 비교한 지수
※ 코스피 2000 = 1980년 시가총액 x 20
※ 거래 주식 중 거래량 많고 대표성 있는 주식 200종목 선정하여 만든것이 KOSPI 200
- 코스닥시장(KOSDAQ)
※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의 주가지수를 나타낸 것
※ 1990년 기준시점으로 작성 되었으나 2004년 기준지수 1000으로 변경하여 작성 중
▪︎ 주요국 주가지수
- 미국
※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/ S&P500지수 / 나스닥지수
- 일본
※ 니케이지수
- 홍콩
※ 항셍지수
- 중국
※ 상하이종합지수
▪︎ 세계주가지수
- MSCI, ACWI, WI, FTSE 등
▪︎ 변동성 지수 (Volatility Index)
➜ 미국의 VIX, 유럽의 VSTOXX
'경제 > 금융 경제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금융경제지식] 🧩 실손의료보험 4세대 꼭 알아야 할 사항 (0) | 2022.12.20 |
---|---|
[금융경제지식] 🧩 연금저축 상품 꼭 알아야 할 사항 (0) | 2022.12.19 |
[금융경제지식] 🧩 마이데이터 서비스 꼭 알아야할 사항 (0) | 2022.12.18 |
[금융경제지식] 🧩 퇴직연금(DB형/DC형) 꼭 알아야할 사항 (0) | 2022.12.17 |
[금융경제지식] 🧩 개인형 IRP 계좌 꼭 알아야할 사항 (0) | 2022.12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