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ll

[책리뷰] 📔 뇌의 자동화가 안 돼서 내리 2회독하며 정리한 <역행자>
안녕하세요 앞으로 직장생활 5년(23~7)을 채우기 전에 경제적 자유를 이뤄 퇴사를 하고 나의 행복리스트에 전념하는 삶을 살 KAZ입니다. 이 책을 읽으신 분이라면 눈치채셨겠습니다. 저를 여러분께 소개하는 '정체성 선언하기!'였습니다.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내 노력만으로 앞선 정체성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. 하지만 혼자 노력은 하지만 뭔지 모를 정체기가 왔다고 느끼게 되었을 무렵 우연히 전에 읽어보기로 생각했던 책을 펼쳤습니다. 책에서는 인생공략을 7단계로 나누어 설명했는데, 지나쳐버린 단계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있었습니다. 바로 기본원칙과 4단계 뇌의 자동화였습니다. 그렇다면 기본원칙이 무엇이냐? 1. 하루에 2시간 동안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 것 2. 하루에 한 번 5분간 생각하..

[Python] 변수와 자료형(숫자형, 문자열, 리스트, 딕셔너리, bool)
변수 선언 변수이름 = 값 의 형태로 씁니다. 파이썬에서 a = b 와 b = a 는 다릅니다. 아래 코드 블록을 터미널에서 실행해 보세요! a = 3 # 3을 a에 넣는다. print(a) b = a # a에 들어 있는 값인 3을 b에 넣는다. print(b) a = 5 # a에 5라는 새로운 값을 넣는다. print(a, b) # 5 3 자료형 자료형이란 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이는 숫자나 문자 등의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 것을 뜻합니다. 1. 숫자형 정수, 실수 등의 숫자를 다루는 자료형 # 1. 정수형(Integer_int) a = 1 a = -1 a = 0 # 2. 실수형(Float) ->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 a = 1.0 a = -1.0 a = -123.1 a = 7 b = 2 a+b # 9 a..

[사회] 🏠 청년 주거정책, 마이홈 App 청년전용 페이지
https://www.korea.kr/briefing/pressReleaseView.do?newsId=156587562&pageIndex=50&repCodeType=&repCode=&startDate=2022-09-12&endDate=2023-09-12&srchWord=&period= 내게 맞는 청년 주거정책, 마이홈에서 찾아보세요 내게 맞는 청년 주거정책, 마이홈에서 찾아보세요 관련 보도자료 내용입니다.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www.korea.kr 마이홈 App 설치 ✔️ 개요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청년 주거정책 193개, 10종으로 알기 쉽게 만들었습니다. 모든 청년 주거정책 정보를 한 곳에서 통합 제공하는 마이홈 App 전용페이지 신설 (2023년 8월 30일) ✔️청년 주거..

[금융경제지식] 🧩 2023년부터 바뀌는 정부 혜택 꼭 알아야 할 사항
2023년 부터 바뀌는 정부 혜택 2023년 1월 1일부터 달라지는 제도 및 법규를 알아보겠습니다! 1. 근로장려금 & 자녀장려금 KAZ 👾: 지급 재산요건이 완화되고 최대지급액이 늘었습니다! ▶ 재산요건 2억 원 미만 → 2.4억 원 미만 ▶ 최대지급액 10% 수준 인상 [단독] 150만 원 → 165만 원 [홑벌이] 260만 원 → 285만 원 [자녀] 1명 당 70만 원 → 1명 당 80만 원 [맞벌이] 300만 원 → 330만 원 2. 개인 연금& 퇴직 연금 KAZ 👾: 공제한도가 상향되고, 연금 분리과세 선택이 가능해졌습니다! ▶ 공제한도 상향 개인연금(연금 저축): 400만 원(퇴직연금 포함 700만 원) → 600만 원(퇴직연금 포함 900만 원) ▶ 연금 과세 선택 기존 [연금 소득 120..

[금융경제지식] 🧩 퇴직연금(개인형 IRP, DB, DC) 꼭 알아야 할 사항
1. 퇴직연금 조회 Q. 🙋🏻♂️ 제가 DB형인지 DC형인지, 개인형 IRP 계좌가 어디 금융회사인지는 어떻게 알 수 있죠? A. 👾 「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」을 통해 퇴직연금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! ▶ 내 연금 조회 다만, 최초 이용시에는 많은 금융회사(퇴직연금사업자)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야 하므로 신청일로부터 3영업일 후에 조회가 가능(안내문자 등 별도 발송)하며, DB형은 가입 여부만, DC형은 가입 여부 및 실제 적립액까지 조회가 가능합니다. https://www.fss.or.kr/fss/main/main.do?menuNo=200000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. www.fss.or.kr 우리나라는 현재 퇴직금(퇴직금 사내적립)과 퇴직연금(퇴직금 사외적립) 제도가..